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5

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 지난 21일 기획재정부에서 "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가 있었습니다. 내용 간단히 살펴보고 부동산 분야 정책 방향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도현황] ㅇ 발표 : 2022년 12월 21일 (수요일) ㅇ 발표기관 : 기획재정부 ㅇ 제목 : 2023년 경제정책방향 정부는 대통령 주재 "제12차 비상경제 미생회의"겸 "제1차 국민 경제자문회의"를 개최하여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확정/발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복합 겨제위기에 선제적/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진단하였습니다. 향후 경기 여건은 대외적으로는 급격한 통화 긴축 등에 따른 주요국 경기위축 본격화 및 대내적으로는 대외여건 악화, 금리 인상 영향 등이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금융, 부동산 시장 여건.. 2022. 12. 25.
23년 부동산 보유세 20년 수준으로 되돌린다 안녕하세요! 지난 11월 23일 "'23년 부동산 보유세, '20년 수준으로 되돌린다"는 정부 보도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오늘까지 종부세 납부 기한에 따른 '23년도 종부세 및 재산세 등 보유세 규모를 가늠하고자 정리해봅니다. -------------------------- [보도자료] ㅇ 일시: 2022년 11월 24일(목) ㅇ 제목: '23년 부동산 보유세, '20년 수준으로 되돌린다. - '23년 공시가격 산정 시 '20년 수준 현실화율 적용 - '23년 재산세 공정시장비율 45% 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1세대 1주택 한) ------------------------- [정책배경] 지난 정부에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늘데 이어,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현실화율도 가파르게 올라 공.. 2022. 12. 16.
[부동산 월간지] KDI 부동산시장 동향(2022년 3/4분기) 안녕하세요!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발표한 2022년 3/4분기 부동산 시장 동향 월간지 요약내용을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아래 내용을 요약하면 현시점의 부동산 가격 하락은 정책금리의 가파른 인상으로 보고 있으며, 주택시장은 당분간 금리효과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하지만, 임대 시장은 공급 대비 임대수요의 하락 현상은 없음(전세 가격은 하락했지만, 월세 수요는 꾸준히 상승중) 아래 요약 내용과 월간지 원문도 첨부하였으니 천천히 읽어 보십시오! ----------------------------------- ㅇ 발생기관: KDI ㅇ 내용: KDI 부동산 시장 동향(2022년 3/4분기) 월간지 ---------------------------------- [요약 및 평가] (부동산 시장 해설.. 2022. 12. 15.
[경제정보] 2022년 한국 부자 보고서(KB금융지주, 2022.12발행) 2022년 12월 4일 KB경영연구소에서 발행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 내용 간단히 요약해 보겠습니다. 부자보고서를 본다고 해서 내가 부자가 되는건 아니지만! 최소한 부자들이 생각하는 투자 방향과 패턴을 분석하여 내 투자 방향을 정하는데 참고 하고자 합니다. 언젠간 저도 부자 보고서 작성을 위한 설문에 참가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부자는 2021년 말 기준 42만 4천명으로 전년대비 3만 1천명 증가, 이중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70.3%가 집중되어 있고 수도권에서만 2만 2천명 증가 2021년말 한국 부자가 보유한 부동산자산 규모는 2,361조원, 전년 대비 14.7%증가 한국 부자 가구의 총자산은 금융자산 38.5%, 부동산자산 56.5%, 전년대비 금융자산 비중 증가.. 2022.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