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월간지] KDI 부동산시장 동향(2022년 3/4분기)
안녕하세요!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발표한 2022년 3/4분기 부동산 시장 동향 월간지 요약내용을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아래 내용을 요약하면
현시점의 부동산 가격 하락은 정책금리의 가파른 인상으로 보고 있으며,
주택시장은 당분간 금리효과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하지만, 임대 시장은 공급 대비 임대수요의 하락 현상은 없음(전세 가격은 하락했지만, 월세 수요는 꾸준히 상승중)
아래 요약 내용과 월간지 원문도 첨부하였으니
천천히 읽어 보십시오!
-----------------------------------
ㅇ 발생기관: KDI
ㅇ 내용: KDI 부동산 시장 동향(2022년 3/4분기) 월간지
----------------------------------
[요약 및 평가]
<3/4분기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은 전국적으로 전분기보다 하락폭이 확대됨.>
(부동산 시장 해설 "최근 주택시장 동향: 금융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참조)
ㅇ 대내외 여건에 따라 기준금리가 큰 폭으로 인상되면서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이 가시화됨
- 정책금리의 가파른 인상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이 유사한 폭으로 동반 하락함.
* 수도권(2분기 --> 3분기):
매매 가격 -0.05% --> -1.19%
전세 가격 -0.09% --> -1.20%
* 비수도권(2분기 --> 3분기):
매매 가격 0.17% --> -0.54%
전세 가격 0.04% --> -0.55%
ㅇ 반면, 월세지수는 2021년부터 상승하고 있어 아직까지는 공급 대비 수요가 감소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금리인상이 지속될 경우 경기 하방압력이 확대되고 소득이 감소하면서 주거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감소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공급 대비 임대수요의 하락 현상은 나타나지 않음.
<주택시장은 당분간 금리효과가 점진적으로 가격에 반영되면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에는 금리 방향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ㅇ 2023년 초반까지는 높은 금리가 유지되면서 하방압력이 점진적으로 지속
- 주택시장은 금융시장과 달리 금리변동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반응하는 경향
ㅇ 추후에는 경기 하방압력 정도와 인플레이션 하락 속도에 따라 기준 금리가 조정되면서 금리 여건에 따라 매매 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
- 일반적으로 주택시장은 거시경제 여건과 매 시기 일대일 대응하며 움직이지는 않으나, 최근 주택 가격의 변화는 급격한 금리변동에 기인함.
- 주택시장 공급여건(신규 입주물량)이 당분간 크게 변하지 않는 가운데, 금리 방향성에 따라 주택 구매 심리가 움직이면서 가격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
[KDI 부동산 시장 동향 월간지 원문]
좋아요와 댓글은
사랑입니다.
#경제정보, #부동산정보, #KDI, #한국개발연구원,
#부동산시장동향, #2022년_부동산시장, #2023년_부동산시장_동향, #주택시장의_금리효과, #뭐털도사, #부동산_가격하락_이유, #임대시장_전망